Svelte와는 별개인듯?
Virtual DOM
- Real DOM와 별개로 메모리상에서 저장.
- UI가 변경되면 이전 Virtual DOM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적용한다.

- 등장한 이유: 작은 변동에도 전체 웹페이지를 로드해야 했다.
Incremental DOM
- Angular에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 실제 DOM과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을 적용한다.

-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 핸드폰 같이 메모리가 작은 장치에서 사용하기 좋다.
- 트리 쉐이킹
- 빌드 과정에서 필요로 하지 않는 코드를 제거하는 것
- 명령 기반의 접근 방식 → 이가 최대히 활용됨
- Virtual DOM은 인터프리터로 사용되기에 트리 쉐이킹이 불가능하다.
- 리렌더링할 때 Real DOM을 복사를 하지 않는다.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