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줄임말, RESTful API

핵심


- POST, GET, PUT, DELETE

아주 간단한 예제를 보자.

  1. 클라이언트 측 (axios)

    const params = {text: "send"}
    axios.get("localhost:5000/", **{params}**)
    	.then(res => {
    		const {data} = res;
    		console.log(data);
    	})
    	.catch(e => console.log(e));
    
  2. 서버 측 (express) (자세한 건 EXPRESS 시작하기 참고)

    route.get('/', (req, res) => {
    	const {text} = req.query;
    // const {text} = req.body;
    	consol.log(text);
    	res.json({success: true});
    });
    

특성


1. Uniform (유니폼 인터페이스)

Uniform Interface는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말합니다.

2. Stateless (무상태성)

REST는 무상태성 성격을 갖습니다. 다시 말해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습니다. 세션 정보나 쿠키정보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API 서버는 들어오는 요청만을 단순히 처리하면 됩니다. 때문에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서버에서 불필요한 정보를 관리하지 않음으로써 구현이 단순해집니다.

3. Cacheable (캐시 가능)

RES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HTTP라는 기존 웹표준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웹에서 사용하는 기존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HTTP가 가진 캐싱 기능이 적용 가능합니다. HTTP 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합니다.

4. Self-descriptiveness (자체 표현 구조)

REST의 또 다른 큰 특징 중 하나는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